관리 메뉴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고구려사의 간단한 정리 3 - 집안에서 석촌동까지.. 본문

한국고대사이야기/한국고대사강좌

고구려사의 간단한 정리 3 - 집안에서 석촌동까지..

짐순 폰 데그레챠프 2012. 11. 9. 15:00

지인들 중에는 역사학 전공자보다 고고학 전공자가 많습니다.

석기랑 토기랑 뒹굴링도 오래 하고 그랬는데도(쿠라시나 카나 이전에 먼저 굴렀어요)

매번 볼 때마다 외계문물을 보는 것 같습니다.

고고학 논문은 아예 외계 문헌이라고 하죠.

그래서 국가형성에서 이론 쪽은 좋아해도 세부 각론은 하나도 모릅니다.

정말 모릅니다.

이 간단한 정리를 기획하며 되도록 문헌사적 정리 위주로 가자고 했는데

한 열 편이면 고구려사 글 나오겠지..라고 했는데

아뿔싸!! 프랑스 비웃으며 베트남전 참전한 미국애들 심정이 딱 지금 이해됩니다.

아무리 문헌사쪽 이야기만 하자고 해도 건국 환경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데

문제는 정말 솔직하게 자연환경이라면 모를까 고고학적 환경은 하나도 모른다는 것!

(내가 괜히 후기사 전공하는 게 아냐!!!!!)


다음 주쯤이면 지금 보는 거 다 볼 것 같아서

약간 순서를 앞당겨 무덤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그러면서도 적석총 이야기를 왜 한다고 했지? 술도 안마시는뎁.. 이러고 있어요.

앞에는 낭떠러지 뒤에는 호랑이, 옆에는 불구덩이..

뭘 해도 앙대는군화. 앙~♡


오늘 사진은 09년과 11년에 직찍한 것이고 마침 미키마우스법에도 저촉되지 않습니다.


한국고대의 건국 과정에서 백제만이 신이한 건국신화를 가지지 못한 건 다들 아실껍니다.

고구려는 귀족들 중 일부도 신화를 가지고 있었고

아예 사로 6촌의 촌장들도 다 하늘에서 낙하산타고 내려왔다는 이야기를 합니다.

(어째된 게 이 나라에서 역사의시작은 다들 낙하산인사냐고요~~~~~~)

그런데 백제만이 가출소년들이 세운 나랍니다. 고구려나 백제나 다 동명성왕 추모의 씨앗들!

나중에 관산성 전투를 다룬 일본서기 기사에서도 

백제왕자 창(위덕왕이 됩니다)이 고구려 장수와 백합벌판에서(아~ 백합. 앙~♡) 만났을 때도

'니캉 내캉 다 같은 집안' 이런 말을 하지요.

아마 백제계 기사를 차용한 기사에도 이런 기사가 나오는데도

사실 그걸 믿으려들진 않았습니다. 당엽합니다만..


그러다 석촌동과 방이동 일대에서 나온 무덤들이 

고구려가 한성함락 이후에 세운 게 아니고 그 이전 것이란 게 밝혀지면서

그 기록은 신뢰를 얻기 시작합니다.

물론 80년대 들어서 삼국사기의 재평가가 이루어진 역사적 맥락 속에 있습니다.


묻지마라, 이 무덤이 석촌동 몇 호냐고~ 생각 안나니까. 워워워~~


사실 모든 문화가 바뀌어도 끝까지 버티는 게 바로 장례문화입니다.

19세기 말 서양문물이 들어오고 식민지와 분단을 겪으며 외래문화에 그렇게 잠식되면서도

얼마전부터야 화장으로 바뀌는 게 바로 그렇습니다.

머리 물들이고 양복을 입고 재즈를 들으며 자유연애를 하고 서양의 신앙을 공유해도

꼭 죽고나서 영원히 살 곳만은 안바꾸었지요.

(아 얍삽해요..라는 생각이 들지만 죽음 앞에선 겁나는 게 한두가질까요?)

요때는 근초고왕 언저리로 본다지만 이때까지도 한반도 남부에 유행하지 않은,

오로지 압록강 중류에서만 유행한 적석분이 서울에서 나옵니다.

게다가 이 무덤은 유일하게 시신이 지상에 올라와 있는 형식입니다.

목곽묘, 목관묘,토광묘, (횡혈식, 횡구식)석실분, 옹관묘.. 등 거의 모든 무덤은 지하에 시신을 둡니다.

이 적석묘와 고구려의 후기 무덤인 봉토석실분만 지상에 관이 놓입니다.

그렇다면 정말 신화가 완전 거짓이 아니란 하나의 중요한 증거가 될 겁니다.

다만 크기가 좀 다를 뿐입니다. 넓이나 높이, 층수가 다르지만

기본적인 설계의 기반이 되는 관념은 동일합니다.

어디처럼 '둥글게 깎으면 다 고소'하는 곳과는 다릅니다.


원래 적석분이 이렇게 정교한 모습을 갖는 건 아닙니다.

가장 크게 구분하자면 춘천 중도의 말무덤처럼 하천의 돌을 무덤처럼 쌓은 

무기단식 적석총이 처음 나왔고, 뒤이어 바닥에 단을 가지는 기단식 적석총이 나왔습니다.

마지막으로 나온 것이 저 위의 사진들과 같은 계단식 적석총입니다.


한국고고학회, "한국고고학강의"(개정판), 사회평론, 2010, 242쪽


1번이 무기단식, 2번이 기단식, 3번이 계단식입니다.

그리고 백제나 고구려의 무덤이 각기 다른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만들지 않았다는

증거도 있습니다.


아담해서 모에?


바로 요것!

사진에 무덤에 기대있는 돌은 한가롭게 햇볓 쬐는 무릎에 물이 차서 널부러져있는 말년병장이 아닙니다!

돌을 그저 쌓다보니 무언가로 붙여놓지 않는 적석총은 무너질 수가 있거든요.

붕괴를 막기 위해 받쳐놓는 용도의 장치입니다.

그런데 백제무덤은 워낙 낮아서 그럴 필요는 없을 것 같은데..


크고 이름답다!!!!!!!!!!!!!!!!!!!!!!!!


바로 요런 게 앞서 본 받침 돌의 사용례지요.

돌을 쌓아만든 건 멋은 있지만 충격에 무너질 여지가 많아서 여러가지 대안을 찾다가 나온 겁니다.


하도 오래되고 사진도 작아서 저 분이 누구셨는지도 기억이 안나네요.


초상권 침해를 막다보니 바로 옆에 서있는 사진을 활용할 수는 없지만

원근법 감안하고 봐도 저 바위가 제법 크다는 건 알 수 있겠지요.

약간 형식적으로 박아넣은 석촌동의 것과는 달리 이건 제 역할을 하는 겁니다.

이게 안되면 어떻게 되냐고요?


태왕릉이라고 하지요. 엣헴~


뭐 이렇게 되겠지요.

현존하는 고구려 무덤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무덤입니다.

원형대로라면 더 컸을 것라고 하는데 그 추정은 고고학자들에게 맞기죠.

얼핏보면 무기단식 적석총처럼 마구 쌓은 듯하지만 

가까이 가면 무너진 계단식 적석총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저 둥근 면이 매장부입니다.


바로 이렇게요. 아~ 이거 아니잖아!! 다시!


요 옆에 관이 들어가는 구멍이 존재합니다.


정상부에 계단식의 흔적이 남아있지요.

또, 그냥 마구 쌓아서는 이 크기가 안나옵니다.



요건 환도성 아래에 위치한 산성하고분군에서 찍은 것인데

기단식인지, 상층이 붕괴한 계단식인지는 모르겠습니다.

남들은 아는데 무식한 19세 미소녀만 모르는 겁니다.

(고구려 고고학 책이 몇 권 없지만 그걸 읽는 건 고역입니다. 일해라 절해라 시키지 마세요.

게다가 대다수가 듕궉말. 나랏말쌈이 다르다니깐!!!!!!!!!!!!!!!!!!!!!!!!!!!!!!!!!!!!!!!!!!!!!!!!!!!!!!!)


또 나머지 사진을은 고구려 중기부분에서 써먹어야 하니 다음을 기약해보고요.

어쨋거나 삼국사기에 실린 건국신화와 일본서기에 담긴 백제 왕자의 말이

생각보다는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다음주에는 기어이 나랏말쌈으로된 책들을 해독해내어

환경문제를 다루고 얼른 고구려를 건국시켜야 되겠습니다.

건국도 안했는데 다음주까지 4회차.

아놔, 이러다 헬기타고 철수하는 그날까지 뒤통수 아프겠네.. .

Welcome to the Jungle~~!!


※ 본문 중 백합이라 해서 그 백합이 아닙니다. 百合입니다. 앙~♡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