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3 (2)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가. 박인호, 한국사학사대요 제3판, 이회, 2001.한국사학사에 대한 입문서로는 유일한(이 문제는 다음 책 소개에서 다룬다) 책이다. 저자는 평생 한국사학사란 우물만 팠다. 조선후기가 주종목이지만 그 앞시대도 딱히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30년 가까이 지속적으로 책을 내놓는다는 건 쉬운 일은 아니다. 처음 나온 1996년부터 2001년까지 3판에 걸쳐 나온 것은 장점이나 2001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은 약간 아쉽다. 아직 소수파인 사학사라는 분야가 정치사나 경제사회분야보다 활발한 것은 아니지만 20년 넘게 성과가 축적되고 있으니까 이제 새로운 판이 나아야 하는 건 아닌가 싶다. 최근 그래24에서는 품절이나 알라딘에서는 구입가능하고, 교보는 아직 품절이 뜨지는 않았다.나. 이기백, 한국사학사론,..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왕조(조선이라 해도 둏다) 시절의 미담을 그 자체로 믿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일단 이 글의 시작은 페친님의 글에 댓글을 다는 것에서 시작한다. 조선시대의 국왕의 행차는 대사건이다. 왕궁이 왕경의 상당수를 차지할 정도로 넓은 이유가 그 안에 갇혀 딴생각하지 말고 일하란 이야기다. 그리고 경복궁의 실제 면적은 자금성과 큰 차이가 없다. 진짜 유생들이 25평 아파트만 주고 여기서 나가지 말라고 했으면 조선시대 모든 왕들은 걸주가 되어버렸을 것이다.(명나라는 자금성을 주었는데도 그리 막장황제 투성이다. 연산군을 가져다 놨으면 성군이라 불렸을게다) 여담이지만 조선의 역대 왕은 정궁인 경복궁을 둏아하지 않았는데, 아주 효율적으로 일만 하고 잠깐 쉬라고 설계되어 왕들에겐 숨 막히는 곳이었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