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고대사 전공자가 반드시 읽어야할 책 목록 본문
일전에 후배가 한 명 더 늘었습니다.
매번 읽어야할 책을 골라 적어주는데 이번에는 해야할 숙제까지 넣어주었습니다.
분명 한국고대사인데 고대사 책은 단 한 권 뿐입니다.
선생님도 있고 저 말고도 선배들은 많으니 전공책 추천이야 어렵게 구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만
공부를 계속 하다 보니 좀 더 다른 시각을 유지할 필요가 있지요.
더욱이 대외관계사를 공부할 친구라 고대사책만 읽는 것은 절대 피해야할 상황입니다.
아래 목록의 시작은 10년도 더 된 것이라 웹 상에도 다른 곳엣 몇 차례 추천도서로 올린 것도 있어요.
하지만 그 사이에 관심분야나 시각이 매우 많이 바뀌었고
읽어야 할 후배들의 관심도 저마다 다르기에 혹여라도 보신 분들이 계시다면 좀 다를껍니다.
몇 권은 새로 들어간 것이 있습니다. 빠진 것도 있겠지요.
단, 시오노 나나미의 책이 2권 들어가 있는데 본인은 그녀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 진한 표시는 필히 구입, 절판의 경우 도서관에서 볼 것)
01 폴 케네디, 『강대국의 흥망』, 한국경제신문사.
- 국제감각을 읽히기 좋은 자료. 전쟁이나 교역과 같은 대외관계가 어떤 경제적 기반에서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볼 것.
02 궁기시정, 『중국중세사』, 신서원.
- 비록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개설적인 서적이나 그 속내용은 일본학계에서의 중국사연구 100년의 결정체임.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해서, 한국고대와 인접한 동시대의 중국이 어떤 궤적을 밟았는가에 대한 이해를 위해.
03 워런 코헨, 『세계의 중심 동아시아의 역사』, 일조각.
-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동아시아의 대외교류사, 의외로 정확하고 한 국가에 치우치지 않게 살펴보고 있음. 대외관계, 특히 교역이라는 부분은 상대가 있고 서로의 상황에 따라 조절되는 법. 그것을 이해할 것!
04 H.G. 크릴, 『공자』, 지식산업사.
- 동아시아 문명의 기초 중에 하나는 공자를 비롯한 유학자들에 의해 구축되었기에 공자는 (한국학을 포함한)“동양학”을 전공하는 사람에게 반드시 거쳐야할 벽. 그리고 유학사상에 입각한 공자가 아닌 역사가가 본 공자를 다루고 있어서 중립적인 입장을 보여줌.
05 갈검웅, 『중국통일, 중국분열』, 신서원.
- 중국에서 젊은이들을 위해 만든 역사개론서. 중국의 “다민족공동체론”의 합리화는 역겹지만, 그 이론적 실체에 확실히 접근할 수 있다. 또 현대의 역사연구자들이 간과하기 쉬운 전근대사회의 특이성을 밝혀주고 있어서 필독을 권함.
06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이야기』, 한길사.(그 중 1, 6, 10권은 필수!)
- 1권은 국가형성이란 측면에서, 6권은 일단 정복활동으로 넓어진 영토와 상이한 체제들을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에 대한 시각을, 10권은 역사기록에서 눈에 띄지 않는 하부구조 중 사회간접자본이 어떻게 문명을 지탱하는가에 대해 도다른 시각을 제공해줄 것임.(그러나 그녀를 너무 믿지 말 것)
07 시오노나나미, 『바다의 도시이야기』, 한길사.
- 베네치아를 지나치게 미화함으로써 현대의 일본시스템을 찬양한다는 혐의를 벗을 수 없으나, 이념이 아닌 냉정한 이성, 합리적 사고가 어떤 작용을 하느냐, 국가는 어떤 과정을 거쳐 유지되는가, 어떻게해야 격동기에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폭넓은 시야를 제공해줄 것임.(역시나 그녀를 너무 믿지 말 것)
08 한국문화인류학회,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일조각.
- 특히 화폐와 교환에 대한 부분에 주목할 것.
09 제레드 다이아먼드, 『총, 균, 쇠』, 문학사상사.
- 반드시 사서 읽을 것!!
10 한국문화인류학회,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 기존의 교과서적인 개설서도 있으나 우리의 시각에서 새롭게 쓴 문화인류학의 개설서. 이 책을 시작으로 다음 인류학책으로 보폭을 넓힐 것.
11 앤터니 기든스, 『현대사회학』(4판), 을유문화사.
- 사회학에 대한 가장 최근, 가장 권위있는 교과서. 대학교재용이니 어렵지 않음.
12 스기야마 마사아키, 『유목민이 본 세계사』, 학민사.
- 르네 그루쎄, 룩 콴텐의 유목민족사는 정주민의 입장에서 바라본 한계를 노정하고 있으나 이 책의 저자는 상당히 유목민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있다. 동아시아역사의 한 축을 담당한 유목민에 대한 이해 역시 필수적이다.
13 아미노 요시히코, 『일본이란 무엇인가』, 창작과 비평사.
- 얼마 전 작고한 일본 역사학자의 독특한 시각이 짙게 배어있음. 현재의 국가주의적 관점이 아니라 당시의 현실적인 시각으로 보려는 점이 장점.
14. 이시 히로유키, 『환경은 세계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경당.
- 환경과 세계의 역사가 어떤 상관관계를 맺는가. 인간은 환경을 어덯게 개조하였으며, 반대로 얼마나 많은 영향을 받으며 살아왔는가를 이해할 수 있을 것.
15. 브라이언 페이건, 『기후는 역사를 어떻게 만들었는가』, 중심.
- 멕시코만류가 북서유럽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를 거시적인 안목에서 조망해보는 책. 앞으로 고고학 발굴에서 기후자료의 수집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될 때, 역사해석의 새로운 접근이 행해질 수 있을 것. 사료를 읽으며 기후의 변화와 그에 대한 인간의 대응이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염두에 두어야 함.
16. 이희진, 『전쟁의 발견』, 동아시아.
- 이력이라거나 관점에서 특이한 면을 보여주는 저자이나 전쟁을 바라보는 시각에서만은 현재 고대사학계에서 가장 개명되었음.
17. 앙리 피렌느, 『중세 유럽의 도시』, 신서원.
- 본래의 주제는 도시의 형성과 발전이란 것이나 여기에 좁히지 않고 거시적으로 중세 초기의 경제사를 조망한 책임. 내용은 쉽고 평이해 서양사에 어느정도 무지해도 읽을 수 있음. 지금은 많은 면에서 비판받고 있으나 초기 아날학파, 특히 마르크 블로크에게 큰 영향을 끼침.
18. 민두기 편, 『중국사시대구분론』, 창비.
- 시대구분은 역사공부의 첫출발임과 동시에 결론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중요함. 단순한 탁상공론으로 보일 수 있겠으나, 결국 지금까지 연구된 모든 결과를 가지고 자신의 시대를 정의내리는 점에서 시대구분은 역사공부의 폭을 넓히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임. 중국사의 성격을 두고 중국과 일본학계의 100년간 연구가 내놓은 결실임.
'어떤 미소녀의 금서목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라에 대해 생각해볼 책 2권.. (17) | 2012.06.17 |
---|---|
김기흥, 천년의 왕국 신라.. (4) | 2012.06.10 |
자료안내 - 한국 기상기록집① -삼국사기ㆍ삼국유사로 본 기상ㆍ천문ㆍ지진 기록 (12) | 2012.05.31 |
[책 소개] 이태진, 『새한국사』, 까치, 2012. (6) | 2012.05.25 |
역사공부를 하는데 도움을 주는 딴 책.. (12) | 2012.05.1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