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자본 (3)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삼국사기는 완성 직후부터 여러 차례 인쇄되었습니다. 과거의 책이라는 게, 요즘처럼 한방에 수백 부, 수천 부를 찍어 내놓는 것이 아니라 귀하게 보관되다가 없으면 또 찍거나, 그냥 필사해서 보는 게 일반적입니다. 몇 번 말했지만 과거의 책은 특정 전쟁으로 불타는 것보다 일상적인 화재, 수해, 관리소홀 등으로 없어지는 게 훨씬 더 많습니다. 그저 전쟁 한 번에 타오르는 장면이 워낙 압도적이라 그렇게 뇌리에 남을 뿐이죠.삼국사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 네 번 목판본으로 찍고, 한 번 금속활자본으로 찍었습니다. 딱 이렇게만 찍었다가 아니라 현재 남아있는 삼국사기 판본을 검토해 보니 이렇습니다. 현재 통용되는 각 판본의 연대는 아래와 같습니다.구분판본연대목판1차1146(인종 사후)~1174(명종 4년) 사이2차(..
요즘 너무 글이 뜸한데다, 또 국내 유일 삼국사기 & 김부식 빠수니 블로그라는 본연의 자세와는 거리가 먼 상태이므로 모처럼 삼국사기 이야기를 해볼까 생각해보았습니다.(99% 즉흥적으로.. 귀엽지만 망할 女ㄴ같으니 -_-;;)뭐, 삼국사기 자체에 대한 이야기라 해서 그렇게 대단한 건 아닙니다.다만 이러저러한 책을 보고 있고또, 이러저러한 책을 구할 수 있느냐에 대한 이야깁니다. 나중에 이야기할 이병도 판의 삼국사기 교감본을 보다가우연히 일본 학습원대학에서 펴낸 삼국사기 영인본을 구하면서짐순이의 원문으로 읽기가 시작되었습니다. 작은 판형, 그러니까 신국판인가 4.6배판인가 보통 단행본 사이즈에양면 도합 8쪽을 우겨 넣으니 글자가 매우 작아서좀 희미하다던가 획수가 많은 글자는 카드형 돋보기로 봐야하는 일도 생..
원문朔州 賈耽古今郡國志云 "句麗之東南 濊之西 古貊地" 盖今新羅北朔州 善德王六年 唐貞觀十一年 爲牛首州 置軍主 번역삭주는 가탐의 고금군국지에 따르면 (고)구려의 동남 예의 서쪽, 옛 맥의 땅이라 하였다. 아마 신라의 북쪽 삭주를 말하는 것 같다. 선덕왕 6년, 당 (태종) 정관 11년에 우수주로 삼고 군주를 두었다. 오늘 예정을 바꾸어 삼국사기 번외 글 하나 올려봅니다.(눼, 이른바 땜빵선발이죠) 사실 별 역사적인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삼국사기의 오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아침에 문득 삼국사기 지리지 삭주(그러니까 지금의 춘천입니다) 부분을 펴놓고 읽다가 순간 짐순이의 해석이 잘못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바로 옆 화면의 中자를 두고 끊어읽기가 잘못되고 있던 거예요. 당의 정관 11년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