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다시 만들어 배포하는 동북아 지도 본문
사실 요서 요동에 대한 글을 읽을 때마다 막막한 것이 지리적 감각이죠. 글로는 읽는데 그게 어디쯤 붙어있고, 뭐랑 연결되는지 글을 읽으면서 영상으로 펼쳐지지 않는달까. 뭐 짐순이는 평양 주변만 관심 있음.. 6세기 애호가라 초기 영역 그닥 관심 없음.. 이러면 되긴 하는데(누가 그래도 된다디?) 그래도 지도를 펴놔도 눈에 잘 안들어 온달까요? 영어 단어도 눈으로 보는 것보다 쓰면서 소리내는 게 나은 것처럼. 걍 지도를 만들어보자.. 이런 뇌내 망상이 가져온 결과가 지도로 나왔습니다.
그래도 쵸큼 감이 오는군요. 지형에 대한 저본은 국토지리원 제공 한반도 주요 지도고, 한반도의 강과 산맥은 예전에 만든 것이고 대륙과 열도의 지형은 "한국 청동기 문화 개론"(중앙문화재연구원)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요건 한중일 포함하는 지도
요건 고구려사에 초점을 두어 잘라낸 지도
뭐 누르면 커집니다만 그래도 필요하신 분들께 공개하는 버전.
말꼬리 --------------------
1.
진짜 고수들이 나섰다면 이 어린 것이 이 고생 안하지..
2.
연방의 미소녀는 이불에다 지도 안그립니다.
3.
매우 정밀한 지도를 원하시는 분은 차승원씨에게 부탁해보세염.
'한국고대사이야기 > 고대사 잡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세기의 전쟁은 국제전인가 내전인가? (0) | 2017.01.02 |
---|---|
시대구분론은 역사연구의 시작이자 끝이다.. (0) | 2016.12.08 |
Re: 제로에서 시작하는 7세기 후반 국제전 공부 (0) | 2016.09.02 |
역사유적 복원에 대한 한국과 일본, 중국의 풍경.. (0) | 2016.07.25 |
동북아 백지도를 배포합니다. (69) | 2016.07.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