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목판본 (2)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삼국사기는 완성 직후부터 여러 차례 인쇄되었습니다. 과거의 책이라는 게, 요즘처럼 한방에 수백 부, 수천 부를 찍어 내놓는 것이 아니라 귀하게 보관되다가 없으면 또 찍거나, 그냥 필사해서 보는 게 일반적입니다. 몇 번 말했지만 과거의 책은 특정 전쟁으로 불타는 것보다 일상적인 화재, 수해, 관리소홀 등으로 없어지는 게 훨씬 더 많습니다. 그저 전쟁 한 번에 타오르는 장면이 워낙 압도적이라 그렇게 뇌리에 남을 뿐이죠.삼국사기는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 네 번 목판본으로 찍고, 한 번 금속활자본으로 찍었습니다. 딱 이렇게만 찍었다가 아니라 현재 남아있는 삼국사기 판본을 검토해 보니 이렇습니다. 현재 통용되는 각 판본의 연대는 아래와 같습니다.구분판본연대목판1차1146(인종 사후)~1174(명종 4년) 사이2차(..
요 며칠 일이 많았습니다.지금도 기차에서 쓰고 있어요.기력은 소진되고, 몸은 피곤하고, 아니 이 구간은 왜 이리 흔들려.. 오늘 소개할 책은 자주 보는 것은 아닙니다.가끔 주자본이 옆에 없을 때나 보는 데문제는 PDF화일은 어디나 따라다닙니다.그러므로 제목은 적절치 않은데그래도 이따금 목판본을 이용하기도 했고또 지금 그나마 쉽게 삼국사기 원문을 구할 수 있는 겁니다.이제 국편에서도 교감된 원문, 번역, 그리고 목판본 이미지를 제공하지요.앞서 소개했듯 서울대 규장각에서는 주자본을 제공합니다.그러나 화면을 보면 눈물이 흐르고눈에 잘 들어가지 않을 분들도 많죠.그런 분들을 위한 소개의 의미도 있습니다. 원문이라고 해도 이것이 김부식과 그 일당들이 쓴 원고 그대로라면지금의 삼국사기를 읽는 수고는 반으로 줄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