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기 (5)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아까 정구복 으르신 책을 읽다가 뭔가 찾아봐야해서 "시민의 한국사"를 폈다. 그런데 후고려(이 왕조의 패악질은 4~5세기 이후 고구마가 국호를 고려로 글자를 줄였음을 감추고, 그 이름을 오롯이 자기 이름으로 한 것에 있다. 그래서 돌라 안둏아해)의 문화 부분에서 한 문장이 눈에 들어왔다. 우리 부식옵하도 아직 먹도 안마른 따끈따근한 "자치통감"을 구해다 썼고, 일본 궁내성 도서관에 숙종(그래도 후대 왕조의 세조와 달리 조카를 담그진 않았다!)의 장서인이 찍힌 "통전"이 있긴하다. 소동파가 책수출금지같은 소릴 지끼긴 했는데 실제론 고려에서 사라진 책을 구하는 중이었다.(사실 소동파가 혐한한 건 "글안"을 물리치고 이 후고려 사신놈들이 대패한 송나라 놈들 약올려서란 얘기도 있다) 한서, 진서, 당서(아마 구..
고조선의 멸망과정에 대한 가장 자세한 기록은 사마천이 지은 "사기"의 조선열전입니다. 바로 사마천의 당대에 일어난 사건이기에 사료적 가치에 대해서는 달리 말할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이 부분을 이야기할 때 조선열전을 이야기하지 않고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지요. 다만 조선열전이 가진 사료적 가치에만 주목하다보면 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과연 무제의 개인적인 욕심, 정복욕으로 이 전쟁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짐순이가 국가간의 전쟁에 대해 이야기할 때마다 누누히 강조해온 것이 있죠. 전쟁의 원인은 매우 다면적이라 우리민족은 평화숭상, 저들의 야욕, 정신력으로 이겼다.. 이런 것을 강조할 수록 보이지 않는 것이 많다고요. 물론 무제 시대를 읽다보면 그 사람에 의해 전쟁이 일어나지 않으면 그게 더 ..
솔직히 오프라인에서 검증된 사람을 제외하고(가끔 그런 사람도 사짜일 때가 있다.. ㅆㅂ..)인터넷으로만 떠드는 사람을 믿지 못한다.물론 그런 부류에는 짐순이도 들어간다.다만, 딱 하나 다른 것은 짐순이는 내 말이 진리..라는 말은 도저히 못한다는 것.실제로도 주변 인사에게 내가 하는 말과 생각을 따를 필요는 없다.내 것이니 나는 강하게 말할 수도 있지만듣는 당신들이 반드시 받아들여야할 의무는 없다..그렇게 이야기한다.적어도 지식을 다루는 자는 끊임 없이 회의한다.거기에는 자기 자신도 회의의 대상에 들어간다. 오늘 아침에 일어나서(그렇다 지금도 아침이다!) 여기저기 돌아다니는데 걸려든 글 하나.. 먼저 이 사람에 대한 짧은 코멘트가 있고 그 아래 링크가 있어 들어갔더니 가관, 개그가 따로 없네.오유 글 링..
며칠 전에 창해군을 가지고 아주 길고도 재미 없는 글을 연달아 뽑아냈었지요.한사군의 프로토타입, 창해군은 왜 만들어졌나..거기서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彭吳穿穢貊ㆍ朝鮮, 置滄海郡, 則燕齊之間靡然發動.팽오가 예백과 조선(의 길을) 뚫어 창해군을 설치하니, 즉 연과 제의 사람들이 크게 동요하였다..(밑줄 친 부분은 이성규 선생님의 사기 편역에 의존했습니다.)이게 무슨 뜻인지 분명치 않아서 다른 기록이 없나 찾아보니그보다 앞서 나온 사기 평준서에서는 彭吳賈滅朝鮮, 置滄海之郡, 則燕齊之間靡然發動팽오가 조선을 멸망시키기 위하여 창해군을 설치하니,연과 제나라 사이의 백성들이 들고 일어났다..라고 되어 있습니다.(앞에서는 이성규 선생님의 사기를 인용하여 보니 뜻이 맞춰지는데정작 평준서의 이 대목은 김원중 선생님 번..
오늘 투표를 마치며 돌아오는 길에(눼 19셉니다. 투표권 있어요)종로 영풍에 들렀습니다.책을 하나라도 집고 싶었는데 눈에 띄는 게 없었습니다. 역사칸을 지나 유루유리 3권이라도 집어야지 했는데 잘 보이질 않아과학칸까지 흘러흘러 갔습니다.새로 나온 뉴톤 하일라이트 단행본도 나왔는데 그냥 와버렸습니다.집에 오면 읽다 만 거의 모든 것의 역사나 읽어야지 했는데이불 속에 웅크린 지금 손에 든 책은 정작 사기입니다.눼, 좀 멘붕이어요. 산상왕의 에로사항, 스즈미야 발기씨의 우울 따위에 신경쓸 여유 없어요.좀 읽어야 할 책은 많은데역시 차가운 시절에 이 책만큼 좋은 것은 없습니다.그러나 사기는 좀 길죠.열전만 따져도 어지간한 단행본 서너권은 나옵니다.(왕년의 을유문화사 판은 두 권이었지만 요즘 추세로는 네 권 분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