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고구려사의 간단한 정리 6 - '나'는 누구? 여긴 어디? 본문

한국고대사이야기/한국고대사강좌

고구려사의 간단한 정리 6 - '나'는 누구? 여긴 어디?

짐순 폰 데그레챠프 2012. 12. 13. 13:29

고구려를 구성하는 원래 씨앗 중 하나는 나라는 집단입니다.

나? 我? I, my, Mine?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 대명사가 아니라 

하나의 집단을 가리키는 고구려만의 어휘랄까요?

저번에도 말했다 시피 고구려가 탄생한 지역은 산이 많습니다.

산과 산줄기가 땅을 여로 조각으로 갈래갈래 나눠버리죠.

아무래도 산과 산이 교통로를 막아버리기 때문에 이동은 제한적이고

굳이 합쳐야할 필요가 생기지 않는 한 

대부분의 시간을 고립적으로 보내기 딱 알맞은 환경이지요.



구글지도에서 가져온 고구려의 첫 수도 홀승골(오녀산성) 일대의 지형입니다.

고전기 그리스에서 도시국가들이 하나의 국가로 합치지 못하고 

항쟁만 거듭한 이유를 생각나게 하는 지형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전쟁은 신 앞에서의 결투다

지형 얘기는 여기서 했으니 보실 분만 봐주시고요..


그래서 고구려가 탄생하던 초기의 이 지역은 

각각의 산으로 둘러싼 분지에 독자적으로 생존하는 집단을 낳았습니다.

이것이 고구려 국가의 기본 씨앗이 되는 나那의 탄생입니다.


물이 아니라 그 뒤에 있는 산을 보세요. 이건 뭐 산이 데니쉬 페스츄리도 아니고...


이 집단은 독자적인 집단이므로 당연히 하나의 목소리를 내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외부의 압력이 온다면 전체의 생존을 위해 뭉칠 수가 있지요.

이 지역은 중국의 영향권과 고조선의 영향권 사이의 미묘한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천문학에서 말하는 중력, 중력간섭이란 개념을 

여기에 적용하면 의외로 잘 맞아 떨어집니다)

그래서 두 집단에서 문화적 영향을 받기도 하고 정치적 간섭을 받을만한 자리에 있습니다.

지금 현재로선 고조선, 

특히 위만조선으로부터 어떤 정치적 영향을 받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다만 B.C.E.108년에 고조선이 멸망하며 그 중심인 낙랑군과 함께 설치된

진번과 임둔군이 각각 특정 세력을 장악하기 위한 것임을 생각하면

이 일대에 설치된 현도군 역시 누군가를 지배하기 위한 것이고

그 중심에 고구려현이 있음을 떠올리면

어떻게든 고조선과 중국의 관심을 끌만한 무언가 있었다.

또는 고조선과 관계를 맺은 어느 집단들도 같이 편제해야할 이유가 있었다고 봐야겠지요.

우리는 그 집단들을 나집단이라고 부릅니다.


다행히 이런 집단 중 하나의 실체는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고조선이 멸망하기 전, B.C.E.128년에 예군濊君을 자칭한 남여南閭라는 인물이

28만명을 거느리고 한에 귀부를 합니다.

어쩌면 위만조선의 압박을 피해 한에게 도움을 요청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무제는 여기에 창해군을 세웠다가 3년만에 포기를 하지요. 그놈의 유지비용이..)

이런 집단들이 있었기에 한도 고조선 멸망 후 현도군을 설치한 것은 당연할 수 있습니다.


삼국사기나 중국사서에 남아있는 고구려의 어휘를 찾아보면

내內. 노奴, 양壤, 讓, 襄등의 어휘는 모두 일정한 구역의 토지라고 봅니다.

이들 어휘는 나那라는 단어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일정 규모의 땅에 뿌리를 박고 살아가는 집단.

초기의 고대국가는 바로 이러한 여러 집단들이 모여 만들어진 것이지요.

이러한 나 집단이 어떻게 변모하는 가는 

현재 화요일에 진행되는 산상왕-동천왕 이야기의 핵심이므로

거기서도 곧 언급이 될지도 모릅니다.

이 집단의 성격은 초기 고구려사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므로

좀 길게 가야할 듯 싶습니다.


말꼬리 -----------

어제 글을 쓰다가 안넣은 대목이 있는데

방금 갈색 글씨로 채워넣었습니다.

이것이 들어가야 윗 문장의 한자어에 대한 문장의 의미가 살거든요.

덩달아 다음 주에 뭔 얘기 할지에 대해 알려주는 친절한 짐순이가 되었습니다.

-_-;;;;;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