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이거 캡쳐하면서 너무 쉽다.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나오는 장군총입니다.(현재 5학년 2학기 사회교과서가 선사부터 조선 후기인데 이번 교과서 본문에는 안나오네요. 쩝..) 1. 중국 남조의 영향.. 이건 무령왕릉 이야기죠.2. 도굴. 멍청이도 할 수 있는 튜토리얼 도굴코스죠. 고구려의 고분은. 다만 부장품도 적다는 게 개그.3. 12지신. 이거 보려면 경주의 통일기 무덤들.. 김유신묘라던가. 김유신묘라던가.. 가봐야져.4. 짐순이도 전에는 서울 석촌동과 방이동의 고분이 고구려 고분과 유사하다고 적었는데 겉 모양만 비슷합니다.5. 벽화.. 후대의 봉토석실분에나 그려졌죠. 좀 찜찜해도 정답은 4번. 이건 전에 직접 찍은 장군총입니다. 크고 아름.. 엥?
이러다 문제풀이하는 속도보다, 국편에서 문제 내는 속도가 더 빠를 것 같네요.(뭐, 매번 이런 말을 하니 염치두 없지!!) 요즘 맨날 동이전 관련 기록만 보는데(어라? 이 女ㄴ이 침두 안바르고 거짓부렁을! 아냐아냐 짐순이 4월 신작 고작 3편 봤심) 순간 답이 뭔가를 고민했네요. 뭐 짐순이가 그렇죠. 지문의 첫번째는 삼국지 위서 동이전 고구려조의 내용입니다. 고구려 초기의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죠. 고구려가 쌈 좀 하게 된 데는 다 이유가 있지요. 지금은 국내성 부근이 만주의 곡창이지만 그 시절에는 먹을 게 부족하니 쌈박질로 삥 좀 뜯어야죠. 처음에는 지들끼리 삥 뜯다가 좀 커지니 이젠 중국을 터는 상황이죠. 그래서 기사 논조가 마치 민주당 보는 조중동문 논조입니다. 지문의 두번째는 삼국사기 열전5 온달전..
2016년 4월 27일 12:30[춘천=쟈브로통신] 안문호 기자25일 강원도 춘천시 중도 레고랜드 건설현장에서 공사도중 새로운 선사문화의 증거가 출토되어 학계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에 발견된 집자리에서 신석기 말기와 청동기 초기에 걸쳐 존재한 것으로 보이는 짐순문화의 토기 2점이 출토되었다. 1점은 짐순문화기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의 것으로 보이는 작은 토기와 뚜껑이며 하나는 그것보다 뒷 시기의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짐순문화 연구의 권위자인 마 쿠베 박사에 따르면 초기의 토기는 작은 것으로 주로 식기로 쓰였으며 하나는 대접으로 쓰인 것 같으며, 이 문화권의 특징은 차츰 큰 형태의 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학계에선 이를 큰 것이 아름답다고 믿는 문화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한다. 토기제작의 특성으로는 ..
오늘까지 해야하는 일 중에 안한 게 생각나서 다시 켜고 마의태자에 대한 자료를 찾는데 논문은 없고(중대도 그렇지만 신라 하대는 정말 연구자가 희귀하다. 더욱이 후삼국과 걸쳐버리면..) 이상한 글만 나오는데 .. 이게 또 지자체의 지역역사 현장사업과 엮이니 참 입에 담기도 민망한 이야기가 역사로 포장된다. 중국 금나라의 시조된 마의태자의 후손 어느 양반이 금나라 왕족이 신라왕족이란 속설에서 더 나아가 마의태자 후손이라 글을 쓴 거 보니 잠이 확 달아난다. 물론 애신각라 드립도 멀게는 조선후기, 가까이는 일제시대까지 올라가는 드립계의 시조새다.(규원사화의 시점을 언제로 보느냐에 따라 다르다. 그래도 환단고기보단 올라가겠지만) 이건 역사가 아니라 창작이다. 아니 차라리 일제시대 이광수가 동아일보에 연재한 마의..
오늘 낮에 용산을 가면서 지인하고 그놈의 개발 이야기를 했다. 마침 히터를 켠(!) 버스에서 내리니 두개의 문의 무대, 용산 철거민 사건의 현장 앞이었다. 용산역은 많이 변하고 있다. 두개의 문이 있던 곳은 쇼핑몰, 특히 면세점이 들어서고 있고, 가끔 들리던 아이파크몰도 반은 면세점으로 날아갔다. 전자상가 가는 길에 중국어 광고판이 눈에 들어온다. 물론 그거 안보는 샛길도 있지. 반중주의자에 가까운 짐순이는 645년 백암성이 어이 없이 함락되는 날의 주민 심정이다. 내 마음의 고향이 이상해지고 있어. 용산 역 앞이 그렇게 썰려나가고, 간당간당한 게 철도부지. 그리고 그 다음은 용산 전자상가지 싶다. 이게 가든파이브의 운명으로 갈 것이냐, 아니면 그대로 남을 것이냐. 단군이래 최대 사업이라는 용산개발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