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GM-79의 삼국사기 이야기
일본 'G7 확대해 한국 참가시키는 것에 반대' 표명 이게 일본과 일본에 경도된 미국 조야의 시각이다. 얼마 전에 에드워드 루트왁(종종 그의 책-전략-을 추천하기도 했는데)도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에 기울 수밖에 없다는 요지의 발언을 하기도 했다. 지들 딴에는 종놈이었던 놈이 겸상하자고 들이미는 꼴이라 기분이 열라 둏진 않을 것이고, 실무적으로 봐도 저렇게 갈 경우 위화단 사건 이후 미국과 가져온 아시아 문제의 대리인으로서의 지위가 위협받는다. 예전에야 그렇담 우리는 군비확장으로 타개한다는 옵션이 있었으나 평화헌법은 그걸 막는다. 그렇다면 결국 가장 유효한 수단은 뒷담화였으나 이젠 그거 약발이 떨어지니 당당히 앞에서 하는 것. 사람들이 착각하는 게 한국전으로 일본이 발전한 게 아니라 회생의 기회를 잡은 ..
춘천의 고대사를 이야기할 때, 637년 우수주의 설치, 이후 삭주의 설치를 중요하게 이야기하지만 그것이 어디에 세워졌던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문헌기록으로 간략하게 언급이 될 뿐, 어느 정도의 규모는커녕 가장 기본적인 행정중심지의 위치조차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어떤 연구자들의 시점대로라면 춘천이 우수주, 삭주의 중심지였다는 것 조차가 의심되는 것이다. 위의 그림은 대정 7년(1918)에 만든 지도로 한반도의 옛지형이 어떠하였는지를 알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지도라고 할 수 있다. 그 이후 지도는 토목기술의 발달로 지형을 변화시키는 수준이 되었으며 그 이전의 지도는 현대 지도가 요구하는 매우 정확한 지형을 보여주는 것과 거리가 멀다. 춘천의 과거를 설명하면서 20세기 후반부터 21세..
전근대 시대에 대한 오해 중에 정말 이가 갈리도록 고쳐지지 않는 것을 들라면 단연 외교에 대한 개념이다. 학계조차 아직도 대외관계의 여러 모습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내리지 못하고 있다만 대중의 오해는 그야말로 곰이 성형외과에 갔더니 미녀가 되어 나왔다는 수준의 믿음이다. 전근대 왕조, 특히 조선은 민족주체에 대한 어떠한 개념도 없이 외세에 납작 엎드린 것으로 인식하게 일쑤다. 그냥 사대와 모화의 개념도 없이 그냥 배꼽을 보여주는 시골 강아지 보듯 한다. 한 번 물어보자. 중국에 가장 많은 사신을 보낸 왕은 누굴까? 정답은 고구려의 장수왕이다. 1년에 두 번, 세번 가는 것도 아니라 무려 1년에 네 번씩이나 한 두해도 아니고 그 "긴 치세"(오죽하면 아들이 기다리다 먼저 죽고 손자가 즉위할 정도)내내 그..
※ 일단 이 이야기는 예전에 쓴 글 "역사적 맥락, 사회적 경제"의 후속글이다. 그리고 벼멸구같은 놈들을 위해 쓰는 글이기도 하다. 하지만 안읽겠지. 쩝.. 요즘 한일관계의 악화로 인해 징용공이나 종군위안부(일본군 성노예)라는 단어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전자는 이번 관계악회의 도화선이 되었고, 후자는 한국의 일부 학자들(라고 자칭하는 …… .)이 그 존재를 부정해서다. 그 논지의 역겹냐 아니냐를 떠나서 한 번 화끈하게 짚고 넘어가야할 때가 되었다. 그 부분이야 현대사를 다루는 분들이 더 잘할 문제니 그 사실과 관련한 역사적 맥락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1. 20세기 중반의 사건을 왜 21세기에 이야기하는가어떤 이들은 왜 이제와서 위안부 문제를 이야기하느냐고 말하며 위안부의 존재를 부정하는 근거로 사용..
오늘 서점에서 벙찌게 만든 책이 이건데, 그럴리도 없겠지만 누가 짐순이더러 이 책을 사거나 읽을 것을 강요한다면 360mm로켓포로 아다마를 날려버리겠다. 딱보기에도 조선전사3과 조선단대사5~7을 쓰까놓은 듯한 체제인데, 본문에 들어가는 지도가 거기 책의 지도를 오려서 붙였다. 인용으로서 넣은 거라면 어설프게 손 보는 것보다 나은 선택이다. 짐순이두 복사본으로 가지고 있는 책인데 보는 것이 뭐가 문제냐. 특히 조선단대사는 교보에서도 팔았는데 말이다. 북한역사학이 보는 고구려사 소개라면 나쁘지 않다. 그런데 얼치기 레포트 쓰듯 편집하구선 마치 새로운 고구려사인양 내놓은 게 문제지. 정성껏 표로 정리하였으나 북한학계의 고구려 초기연대관을 그대로 실은 것은 좀 웃음이 나왔다. 이 책의 목표는 ‘우리 역사 바로 ..